|
yukimdang.com 충암 안장헌과 함께하는 육임 운세마당입니다 전화번호 / 이-메일 주소는[클릭]
|
|||||||||||||||||||||||||||||||||||||||||||||||||||||||||||||||||||||||||||||||||||||
|
홈 | 명리학강좌 | 육임학강좌 | 기문둔갑강좌 | 육임 . 기문부적 | 작 명 . 궁 합 | 꿈 해몽 | 운세상담 사례 보기 | |
|||||||||||||||||||||||||||||||||||||||||||||||||||||||||||||||||||||||||||||||||||||
|
사 업. 작 명. 재 물. 부 부. 직 장. 시 험. 적 성. 결 혼. 궁 합. 택 일. 신 수 || 운세상담 내용보기. 상담료 입금방법 [클릭] |
|||||||||||||||||||||||||||||||||||||||||||||||||||||||||||||||||||||||||||||||||||||
|
기문둔갑
명리방
|
기문둔갑 의 기초 구궁과 팔괘 구궁<九宮> 기문둔갑은 일반명리와 달리 시간의 요소인 간지<干支>를 구궁이라는 공간에 뿌려 판단의 체계를 만들고 이것 을 해석하여 사람의 길흉화복을 논하는 학문이다. 특히 기문둔갑은 하도낙서에서 낙서<洛書>만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여기서는 구궁과 팔괘가 기문둔갑에서 어떻게사용하는지 알아본다. 기문에서 구궁과 팔괘는 중요하기 때문에 확실한 이해가 필요하다. ◇ 용마하도와 선천수 이것은 BC 6700년경 복희씨가 용마에 그린 그림에 근본을 두고 있다. 용마에 그려진 象에 의해서 얻어진 것이 라고 하여 [용마하도]라고 한다. 특징은 용마하도의 특징은 상생으로 이루어져 생명의 탄생을 상징한 先天 의 그림이다. ○○○○○○○ 7
. ●● 2 ● ○
● ●●●●● ○
● ○ ● ○
● ○ ○ ● ○ 8 . 3 5 . 10 4 . 9
● ○ ○ ○ ○ ● ○
● ○ ● ○
● ○ 1
● ●●●●● ○ .
○ 6 ○
●●●●●●
위의 그림을 기본으로 팔괘의 상과 결합한 구궁의 공간에 표시하면 다음의 표시가 된다.
1. 선천도는 자연이 탄생하는 공간적 의미를 가진 상하좌우의 공간적 시각으로 보아야 한다. 선천도의 복희팔괘에는 천문과 지리가 배치되어 있음을 볼 수가 있다. ᭐ 4 정방 -- 천문현상 -- 상<하늘 乾>. 하<땅 坤>. 좌<해 離>. 우<달 坎>
᭐ 4 우방 -- 지리현상 -- 남동<물 兌>. 북서<산 艮>. 남서<바람 巽>. 북동<천둥 雷>
2. 체용의 관점에서 복희팔괘는 체<體>이므로 체의 주인 건곤<乾坤>이 상하 정위치에서 배치되어 있는 상이다. 오행의 체용을 밝히면 목금<木金>은 성질보다 형체다 우세하지만 수화<水火>는 형체보다 성질이 우세하다. 그래서 목금<木金>은 체가되고 수화<水火>는 용<用>이 된다.
◇ 신구낙서와 후천수 선천도에 이어 BC 3000년경 하나라 우임금때 낙<洛>이라는 물에서 거북의 등에 그려진 그림이 나왔다. 이것을 [신구낙서]또는 [낙서]라고 한다. 다른 이름으로는 후천지도 라고도 한다. 선천도가 상생의 도를 의미한다면 낙서는 상극의 도를 밝힌 것이다.
위의 구궁도는 확실하게 암기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1. 선천도가 탠생의 공간적 의미라고 한다면 후천도는 자연이 운행하고 작용하는 시간적 의미이다. 계절적으로 춘하추동을 의미하는 팔괘로 배치되어 있음이다. 춘 -- <震 巽>. 하 -- <離 坤>. 추 -- <兌 乾>. 동 -- <坎 艮> 2. 體 用의 관점에서 복희팔괘는 體이고 문왕팔괘는 用이므로 용의 주인인 坎 離가 상하 정위치에 배치된다.
팔괘<八卦> 구궁에 배치된 팔괘는 —‒ <陽>과 ‐‑ <陰>으로 조합된 하나의 효<爻>를 3개씩 조합하여 만든 8개의 괘를 말한다 이것이 소성괘<小成卦>이다. 기문국을 조식하고 해단할 때 팔괘의 성격과 위치를 정확히 알아야 한다. 1. 가령 七赤金星 兌上絶 의 뜻을 알아보면 ... 七은 구궁의 고유숫자이고, 赤은 팔괘의 색을 의미하며, 金星은 소성괘<小成卦>의 오행을 나타낸다. 2. 兌上絶은 소성괘의 명칭과 주효<主爻>를 말한다. 兌는 소성괘의 고유한 이름이다. 일반적으로 兌卦라 한다. 上絶은 소성괘의 모양을 말한다. 세 개의 爻중 가장 위에 있는 爻가 끊어져 있으며 이 爻가 主爻라고 하는 것이다. 소성괘의 판단은 主爻를 중심으로 이루어짐을 알아야 한다. 3. 兌卦는 上絶이라서 ‐‑ <陰>, 즉 陰爻이기 때문에 陰에 속하는 金으로 본다. 기문해석시에는 월령과 오행의 관계 를 참조함이 중요하다. 4. 소성괘에서 인사의 판단도 主爻를 중심으로 해석한다. 가령 兌卦는 작은 딸인 소녀로 보는데 主爻가 음효이기 때 문에 소녀로 보는 것이다. 여기서 참조 할 것은 소성괘를 볼 때 아래의 爻부터 변화가 시작되므로 아래의 爻를 먼저 판단해야 하는 것이다.
◇ 구궁 팔괘의 이용 1. 구궁의 이용 구궁은 기문의 기초이다. 구궁에 있는 지지의 자리에 연월일시 가 어떤 오행으로 있는지를 가늠하는 것이 홍국수이 다. 홍국수를 판단하는데 구궁의 고유수가 이용되는 것이다. 감리지견<坎離之見>과 구궁의 개념은 팔괘에서 복희팔괘는 체이고 문왕팔괘는 용이므로 용의 주인인 坎宮과 離宮 이 중심이된다. 이 뜻은 坎宮과 離宮이 기문의 구궁에서 대표적 역할을 한다는 의미이다. 즉 감리지견<坎離之見>하여 전체 흐름의 윤곽을 파악하는 것이다. 기문국에서 각 궁의 요소인 육의삼기<六儀三奇>는 객<客>이고 구궁의 오행은 주< 主>이다. 각 궁의 오행을 파악해야 한다. 또한 기문의 격에서 박제화의<迫制和義>는 시가팔문과 구궁의 관계를 말하는 것인 데 역시 구궁의 오행을 알아야 한다.
2. 팔괘의 이용 연파조수가에서 [太白入乾坤 父母早年歿 태백성이 건궁과 곤궁에 들면 그 부모가 일찍 몰락한다]라고 한 것처럼 구궁에 있는 팔괘의 인사를 그대로 기문에서 활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처럼 팔괘의 성정 인사 사물 들을 알면 기문 에서 요소를 해단할 때 많은 도움이 된다.
낙서<마방진>의 정위도
八卦의 요약
<< 계속 |
|
|||||||||||||||||||||||||||||||||||||||||||||||||||||||||||||||||||||||||||||||||||
|
기문둔갑 홍연국 은 인사명리를 해단하는 학문이다. 홍국은 기문둔갑 의 뼈대이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