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ukimdang.com  충암 안장헌과 함께하는 육임 운세마당입니다   전화번호 / 이-메일 주소는[클릭]

 

 

 

 

 

 

    

 

       |   명리학강좌  |   육임학강좌  |   기문둔갑강좌 |   육임 . 기문부적 |   작  명궁  합 |   꿈 해몽 |   운세상담 사례 보기  |

 

 

       사 업.  작 명.  재 물.  부 부.  직 장.  시 험.  적 성.  결 혼.  궁 합.  택 일. 신 수   ||   운세상담 내용보기.  상담료 입금방법    [클릭]

 

 

                    

     

       명리학 편지<사주팔자 이런 저런 이야기>

 

                          명리와 육임을 병행하는 상담 이야기

 

 

                                                    사주팔자 이런 저런 이야기.

 

 팔자를 논하면서 이런 저런 이야기를 하게 되는데 이번에는 명리학적, 육임학을 병행하여 상담하는 이야기를 다루고자 한다.

 

                                 중국 건설의 인물.   등 소평의 사주 이야기.

               1905. 8. 24   음력사주

            甲   甲   乙   乙                                      正官格(정관격).

            子   子   酉   巳                                      

                                                    5

           乙 丙 丁 戊 己 庚 辛 壬 癸 甲

           亥 子 丑 寅 卯 辰 巳 午 未 申

        중국(中國)의 역사에 큰 이정표(里程標)를 만들고 개혁(改革)과 개방(開放)을 통해서,

        사회주의(社會主義) 건설(建設)과 고속성장(高速成長)의 계기를 만들어준 역사적(歷史的)인

        인물(人物)이다.

        프랑스를 유학(留學)한 학구파(學究派)이면서 대국(大國)의 정권(政權)을 차지한 문무(文武)

        를 겸한 인물(人物)로 평가한다.

        주인공(등소평)의 갑자일주(甲子日柱)의 심리(心理)를 보면 항상 인간(人間)의 기본적인 먹고

        사는 문제, 현실(現實)에서 살아가야 하는 것을 연구(硏究)하고,

        방법을 만들어서 그 힘을 활용하는 현실주의(現實主義)다.

        큰 그릇의 정치인(政治人)으로서 주위 많은 사람들과 인맥(人脈)을 만들고 주위를 보면서 타고

        난 센서를 소유하여 자신 외에 타인(他人)들을 보면서,

        경계(警戒)를 하는 특유의 육감적(肉感的)인 능동적(能動的) 특성을 소유하고 이에 따라서 처

        세(處世)에 활용하고,

        타인(他人)의 자발적(自發的)인 활동을 통하여 큰 것을 만드는 지혜(智慧)를 발휘하는 인물(人

        物)로 볼 수가 있는 사주(四柱)가 된다.

        정권(政權)을 잡고 생살지권(生殺之權)을 활용할 줄 아는 강약조절(强弱調節)을 할 줄 아는 능

        력(能力)을 발휘하는 팔자(八字)로 보인다.

  

        통치(統治)를 하는 사람으로 경제(經濟)를 일으키려는 본능이 강한 인물(人物)로 통할 것이다.

        통치권(統治權)이 얼마나 강력한지는 정도에 따라서 다르지만,

        주인공(등소평)의 이력으로 보아서는 중국(中國)의 가난을 이겨내기 위한 지도자(指導者)의

        한 사람으로 볼 수가 있다.

 

       대운(大運)의 흐름으로 보는 주요 사항으로 보면....

        15세 - 25세 계미대운(癸未大運): 이 기간은 품행은 나무랄 데 없으나 공부에는 관심이 별로

                                                           없는 모습으로 장래가 뚜렷하게 보이지 않는다.

                          다만 스스로가 자신을 억제하고 조절하는 능력이 있어서 관심이 없는 공부라고 해

                          도 어느 정도는 해야 된다는 각오가 있게 된다.

                          이러한 정신(精神)이 자신의 미래(未來)를 만들어 가는 동기발생(動氣發生)이 되면

                          서 스스로 각성(覺省)하면서 준비를 해야 한다는 마음을 갖게 된다.

 

        25세 - 35세 임오대운(壬午大運): 이 시기에 주인공(등소평)의 인생(人生)에서 방향설정이 된

                                                          것으로 볼 수가 있다.

                          불필요한 것은 버리고 필요하고 정도(正道)로 가는 길을 택하여,

                          학구적(學究的)인 자세가 강하다. 이 시기에 유럽으로 유학(留學)을 했다.

                          공부도 열심히 한 것으로 본다.

 

         35세 - 45세 신사대운(辛巳大運): 자유주의(自由主義)가 강하고 주인공(등소평) 개인(個人)

                                                             의 의지가 강한 시기다.

                          이러한 시기에서는 특히 자유민주주의(自由民主主義)에서 생활하는 경우에는 규칙

                          (規則)에 엄격한 계통에서는 어울리지 못하게 된다.

                          다만 체제(體制)가 다른 나라에서는 개인(個人)의 자유(自由)가 제한되는 체제(體

                          制)에서는 그 상황속에서 익숙하게 되니 오히려 특성이 나타나지 않게 되지만,

                          그러나 운기(運氣)의 작용에 의하여 사상(思想)만큼은 항상 존재하게 되는 것이다.

                          이 기간에서는 청년(靑年)에서 중년(重年)쪽으로 향 해 가는 나이어서 개혁(改革).

                          개방(開放)에 대한 필요성을 준비했을 것으로 본다.

 

        45세 - 55세 경진대운(庚辰大運): 명예(名譽)에 대한 강한 소유욕(所有慾)이 작용하는 시기다.

                                                           또한 권위(權威)있는 지인(知人)이나 누군가가 지켜주기도

                           하고 보호하기도 하여 서서히 자신에게 가능한 직위권(職位權)에 대한 욕심을 가질

                           수 있는 기회가 온 것이다.

                           길지는 않지만 어느 정도 권력(權力)에 대한 눈을 뜨고 볼 수 있는 기회(機會)가 온

                           것인데,

                           다만 보이지 않는 돌발상황이나 신변(身邊)에서 반갑지 않은 일이 닥치는 일이 있

                           어서 근심이 있는 시기다.

 

         이 시기에는 6. 25 한국전쟁(韓國戰爭)이 있었고 부수상(副首相)에 오르기도 했다.

         그러나 문화혁명(文化革命)으로 실각(失脚)하였다.

         부수상(副首相)에 오른 때는 1952년 壬辰년이었다.   

         1952년 壬辰년에서 주인공(등소평)은 스스로가 이룩한 업적(業績)에 의하여 직위(職位)가 확

         보된 것이다.

         하지만 업적(業績)에 따라서 자신을 지켜줄 확실한 것인지를 보면 부실(不實)한 면이 있다.

 

         壬辰년의 운기(運氣)작용은 순수함이 훼손되어서,

         이것이 주인공(등소평)을 지켜주는 힘이 약화되는 것이어서 이 직위(職位)를 장기간(長期間)

         지켜주지 못하게 된다.

         다음 대운(大運)에서 문화혁명(文化革命)이 일어나면서 다시 권력(權力)에서 멀어진다.

         주인공(등소평)이 추진하는 핵심적(核心的)인,

         개방(開放). 개혁(改革)을 통한 사회주의(社會主義) 건설(建設)을 주창(主唱)하였던 것인데,

         모택동은 혁명(革命)을 주로 하였던 것과는 충돌이 되는 부분이 있었던 것이다.

 

        55세 - 75세 기묘대운(己卯大運) 무인대운(戊寅大運): 20년의 세월이 뒤집어지고 엎어지고

                     변화무쌍(變化無雙)한 시기다.

                     결코 짧지 않는 기간에 권력(權力)의 중심부에 있는 사회주의체제(社會主義體制)에서

                     죽고 사는 위험한 세월이다.

                     이 시기에서 - 1967년 丁未년 - 유소기와 같이 주사파(主思派)로서 당(黨)에서 내 쫒

                     기게 되었다.

                     다시 복귀(復歸)되었다가 천안문사태(4.5)후 세 번째 숙청되었다가,

                     그 해 9월 모택동이 사망(死亡)하였고 그 후에 당직(黨職)에 복귀하였다.

                     따라서 주인공(등소평)은 오뚝이라는 별명도 얻게 되었다.

         이 시기는 기묘대운(己卯大運),

                     丁未년에 당(黨)에서 축출(逐出)되었다.

                     이러한 운기(運氣)에서는 아무리 자신의 신변(身邊)을 지키려고 해도 역부족으로 불리

                     한 경우를 당하게 되는데 자신이 추구하였던 것이,

                     문화혁명(文化革命)에서는 오히려 기회(機會)로 작용하게 되었으므로 훗날 복권(復權)

                     하게 된다.

          즉 주인공(등소평)이 추진한 사회주의(社會主義) 개방(開放). 개혁(改革)이 결론적(結論的)으

                     로는 문화혁명(文化革命)이 되어서 나타난 것이니 잠시 조용해질 때까지 물러나 있을

                     뿐이다.

                     이것이 丁未년의 운기(運氣)이다.

 

          모택동주인공(등소평)을 아끼고 비범(非凡)함을 인정하면서 평생 동지(同志)로서 생사고

                     락(生死苦樂)을 같이 하였고,

                     군사(軍司)(제갈량)로서 활용하고 혁명(革命)을 여러 번 하면서 정적(政敵)인 반대파

                     가 자연스럽게 생기게 되므로 이러한 반대파를 숙청하는데,

                     그 때마다 주인공(등소평)의 신상(身上)에 변화가 생기게 된다.

         모택동이 정치적(政治的)상황에 따라서 소모품(消耗品)으로 이용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대운(大運)에서는 문화혁명(文化革命)이 일어나면서 부침(浮沈)이 심한 시기였다.

         주인공(등소평)이 1972 壬子년에 확실한 시동을 걸면서 1973년 癸丑년 복권(復權)되어 최고

                     실력자(實力者)가 되었다.

                     이 시기는 무인대운(戊寅大運)이었다.

   

                     최고의 실력자(實力者)로 복귀(復歸)한 뒤 20여 년을 중국(中國)의 건설(建設)을 하였

                     던 지금의 중국(中國)이 있게 한 인물(人物)로 평가한다.

            1997년 丁丑년 2월 92세로 사망(死亡)하였다.

            1996년 丙子년이 사망(死亡)하는 한명(限命)이 되는데,

                       해는 바뀌어서 丁丑년 이지만 의미는 없다고 본다.

 

                                        ◈                             

   

                                                  

      

 

                         << 계속        명리학 편지   신축년 음력 유월달 중순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