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ukimdang.com  충암 안장헌과 함께하는 육임 운세마당입니다   전화번호 / 이-메일 주소는[클릭]

 

 

 

 

 

 

 

    

 

            | 명리학강좌  | 육임학강좌  | 기문둔갑강좌 | 육임 . 기문부적 | 작  명궁  합 | 꿈 해몽 | 운세상담 사례 보기  |

 

 

       사 업.  작 명.  재 물.  부 부.  직 장.  시 험.  적 성.  결 혼.  궁 합.  택 일. 신 수   ||   운세상담 내용보기.  상담료 입금방법    [클릭]

 

 

                    

                      명리학 편지<적성의 기준> 5

 

                                    사주팔자에서 신체의 특징과 체육을 어떻게 응용하는가.

 

   신체의 특징과 체육 분석법(육임당 명리 교재 중에서 인용)

 

     팔자의 구성을 보고 체육적인 특징을 분석하는 것은 적성을 보는  것과 동일하다.

     다만 이곳에서는 예, 체능적인 면에서 분석하기로 한다.

                                                                      

    1). 팔자에서 예, 체능은 일간(日干)이 중(中), 상(上)이상으로 강해야 한다

    2). 일간(日干)이 강한 것이 비견(比肩) 겁재(劫財)가 왕성한가 인성(印星)이 왕성한가를 분석한다.

         우선 비견(比肩) 겁재(劫財)가 왕성한 것이 좋다.

    3). 비견(比肩) 겁재(劫財)가 왕성하면 체질이 강하고 지구력이 좋으며 인성(印星)이 강하면 지구력이

         떨어진다.

    4). 팔자에서 식신(食神)과 상관(傷官)의 왕도(旺度)를 보고 일간(日干)과의 친밀도를 분석한다.

    5). 팔자에서 식신(食神)과 상관(傷官)이 타 간지(干支)에 의해 극(剋) 충( ) 합(合)을 당하거나 파괴되

         었는 가를 분석한다.

 

      십성(十星)의 특징으로 분석하는 체육의 기준

 

    비견(比肩) 겁재(劫財) 상관(傷官) 편재(偏財) 편관(偏官) : 격투기(레슬링. 유도. 태권도. 합기도).

    비견(比肩) 편관(偏官)이 강하면 수비와 역습에 능하고 겁재(劫財) 상관(傷官)이 강하면 공격적이다.

 

     가령 예를 들면,

     복서(Boxer)의 경우 : 식신(食神)과 비견(比肩) 정관(正官)이 강하고 겁재(劫財) 상관(傷官)이 약한

               경우는 스트레이트를 주무기로 하며 아웃 복서 겸 화이터가 되고 상관(傷官)과 겁재(劫財) 강하

               고 식신(食神) 비견(比肩)이 약하면 훅(Hook)을 주무기로하고 인 파이터가 된다.

               특히 편재(偏財)가 강하고 일간과 친림하면 오소독소한 파이터 형이 된다. 이처럼 팔자에서 특

               징이 있으면 그러한 장점을 최대한 살려서 주무기로 삼아야 한다.

 

     편재(偏財) 편관(偏官) 편인(偏印) 상관(傷官)(팔자에 합이 있는 경우)

                                  : 단체운동(축구. 배구. 농구 등...)

     식신(食神) 상관(傷官) 겁재(劫財) : 단거리(육상).                  

     편관(正官) 상관(傷官) 편재(偏財) : 중, 장거리(육상).

     식신(食神) 상관(傷官) 편재(偏財) : 골프. 야구.                     

     정재(正財) 식신(食神) 상관(傷官) : 탁구. 베드민턴. 당구.

     편관(偏官). 정재(正財)(천간에 있고) 겁재(劫財)(지지에 있는 경우) :   

                                                                                           아이스 하키. 필드하키.

 

       십성(十星)의 특징으로 분석하는 위치의 기준

 

     야구 : 포수(편관. 편재. 편인)

              투수(정재. 편재)

     축구 : 공격수(편재. 겁재. 상관)

              수비수(편관. 비견. 식신)

             

                            ◈                             

 

                예).  乾

                  時    日    月    年                    

                  甲    甲    甲    戊       

                  戌    午        辰  

 

      1). 본명(本命)은 골프 선수다.

          팔자에 일간(日干)은 강하다. 월지 록신(祿神)이고 비견(比肩)이 왕성하고 상관(傷官)이 왕성

          하여 재능이 많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년간(年干)의 무진(戊辰) 재성(財星)은 왕성하지만 공망(空亡)되었다. 일지(日支) 상관(傷官)

          이 월지(月支) 록신(祿神)과 시지(時支)와 삼합(三合)하여 상관(傷官)의 기운이 왕성하게 된

          것은 스포츠에 길한 명(命)이다.

          명(命)에서 일간(日干)과 비견(比肩)이 왕성하고 일간(日干)의 정기(精氣)를 화(火) 상관(傷官)

          을 통하여 설기(洩氣)하므로 본명은 예체능의 길을 택하였다.

          어릴 때 청소년기에 즉 병(丙) 대운(大運)에 최연소 기록으로 우승도 했었다.

          지금은 진(辰) 대운(大運)이며 공망되어 불용(不用)한다. 때문에 지금은 외국에서 수업중이다.

          본명이 대운(大運)의 흐름에서 불리하여 정(丁) 대운(大運)이 오면 일취월장(日就月將)할 것이

          다.

        

          식신(食神) 상관(傷官)의 예능성에 비견(比肩)이 왕성하다는 것은 주체성이 강하여 기치관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스포츠를 통한 자기 완성도를 높이려하는 것이다.

  

 

               예).  乾

                  時    日    月    年

                  庚    辛    乙    丙       

                  寅    巳    未    辰

 

      1). 본명(本命)은 태권도 사범이다.       

          팔자에 일간(日干)은 약하다. 양기(陽氣)는 매우 높다.

          일간(日干)은 겁재(劫財)의 특성이고 관살(官殺)이 왕하고 기신에 속한다.

          월간(月干) 편재(偏財)는 체육(몸 단련)이다. 수기(水氣)가 없어 유연성은 약하다.

          여기에 수기(水氣)가 있었으면 한 결 업그레이드 되는 팔자가 되었을텐데 못내 아쉽다.

          수기(水氣)가 있어서 유연성이 있으면 운동을 하여도 부상당하는 것도 방지되고 딱딱한 이미지

          가 줄어들 게 되는데....

          편재(偏財)는 미토(未土)에서 출원하였으니 딱딱한 맛이 나는 음식에 해당한다. 쫄깃쫄깃한 맛

          있는 음식은 아니다.

          재물도 이와 동일하다. 쉽지 않은 재물이다.

          즉 꾸준하게 벌리는 재물이 아니고 기복이 심한 재물에 해당한다.

          벌어들이기 쉽지 않고 들어오면 갑자기 나가기도 하는 재물이다.

 

      2). 관(官)이 왕성한 명(命)이다. 정관(正官)이 강하여 자존심도 강하고 체면이나 위엄이 있는 모

          습을 가지며 바른 생각을 갖고 사는 명(命)이다.

          좀 지나치게 강한 관(官)이니 고정관념이 강한 스타일이다. 좀더 약한 관이되었으면 좋겠다.

          법(法)이나 원칙이 중요하기는 해도 너무 과하면 오히려 철저한 원칙주의자가 된다. 딱딱하게

          보이는 것은 좋지 않기 때문이다.

 

                                                  

      

 

                         << 계속        명리학 편지  무자년 음력 칠월 초순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