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ukimdang.com  충암 안장헌과 함께하는 육임 운세마당입니다   전화번호 / 이-메일 주소는[클릭]

 

 

 

 

 

 

 

        |   명리학강좌  |   육임학강좌  |   기문둔갑강좌 |   육임 . 기문부적 |   작  명궁  합 |   꿈 해몽 |   운세상담 사례 보기  |

 

 

        사 업.  작 명.  재 물.  부 부.  직 장.  시 험.  적 성.  결 혼.  궁 합.  택 일. 신 수   ||   운세상담 내용보기.  상담료 입금방법    [클릭]

 

 

 

 

 

     

 

 

 

 

 

 

 

 

 

 

 

                   

 

 

 

 

 

 

 

 

 

 

 

 

 

 

 

 

 

 

 

 

 

 

 

 

 

 

 

 

 

 

 

 

 

 

 

 

 

 

 

 

 

 

 

 

 

 

 

 

 

 

 

 

 

 

 

 

 

 

 

 

 

 

 

 

 

 

 

 

 

 

 

 

 

 

 

 

 

 

 

 

 

 

 

 

 

 

 

 

 

 

 

 

 

 

 

 

 

 

 

 

 

 

 

 

 

 

 

 

 

 

 

 

 

 

 

 

 

 

 

 

 

   

   처음페이지>>

 

    육임 감정 사례 보기 (주인공의 신상은 밝히지 않습니다)    (주인공 여자) 가명 --

 

                        

     제목 :  문필로 대성할 분이 오셨네 ....   >>>>

 

                                                                                                         

  

   [본 상담내용은 2004년 가을  상담 내용입니다.]

 

    [ 상담 내용]

 

       ◇ ◇ 학구자 이시고 문필로 현양할 분이 십니다. .... 첫 마디를 이렇게 손님에게 던 졌다.

 

                어찌 해서 그런 말을 했는가...

 

                

                  상담 일 : 갑인일 <甲寅日>  6국    월장 辰    년명 未(양띠)  행년 子(靑龍)

 

 

                                                    갑인일 <甲寅日>  6국     원수과 사절격 팔전격

   

  삼전

초 전

중 전

말 전

 천(天)

 

        

       

     유(酉) 

   진()

  해()

       寅

       酉 ○

      辰

  사과

         

 

      

     

 지(地)

   朱  酉

   辰

   

 

 갑 ()

     酉 ○

  인()

      

1과

2과

3과

4과

         

 

 

  이유 [위 육임신과의 상황]

 

       1.   육임으로 정단하는 데는 우선 전체적으로 과(課) 격(格)을 보아서 판단 한다.

             위 [ 육임신과]의 과(課) 격(格)은 원수과, 사절격. 팔전격이다.

             원수과(課) 는 매사 순리하고 적극적으로 나서면 좋다는 의미가 있고, 선(先)에 유리하고 시험

             승진 등에 길하다.

         

        2.  학구자(學究者) 또는 교육자(선생)라고 알 수 있는 것은 1과를 보면(간상신) 관성(官星)이 있고

             천장은 주작(朱雀)이 승하고 있다.

             관성(官星)은 명예이고 주작(朱雀)은 문필이다. 즉 문필로 명예를 이루는 것을 말한다.

             그런데 정단하는 때는 바로 가을 추월(秋月)이다.  추월(秋月)은 금(金)의 계절이요 금(金)이 강

             하므로 관성(官星)이 왕(旺)하다.

             이를 두고 관성(官星)이 천시(天時)를 득했다고 한다.

             이를 두고 학구자(學究者) 또는 교육자(선생)라하며 훗날 꼭 공명이 나타날 사람이라고 한다.

             

             또한 초전(初傳)을 보면 역시 관성(官星)이 있으며 황은(皇恩) 에 해당된다.- 묘 유월(卯 酉월)

             황은(皇恩)은 공명에 의하여 천전(遷轉)의 기쁨이 있다고 하는 길함의 뜻이다.

             이 뜻은 문재(文才)의 현양(顯揚)이라 하며 공명이 나타날 사람이라고 한다.

                        

        3.   육임학은 년명은 본인의 띠를 말하고 행년은 그 해의 기운을 의미하는 것이다.

             년명위에 있는 기운으로서 변화를 읽을 수 있으니 변화문(變化門)이라고 한다. 이곳이 중요한

             곳이며 이곳에서 좋고 나쁨을 변화시키게 된다.

             년명위에는 가장 존귀한 록(祿)이 자리잡았으니 더 이상 바랄 것이 없고

             행년위 에는 도움을 주는 기운이며 학문을 의미하는 기운과 청룡(靑龍)이라는 기운이 있으니

             무엇을 더 바라겠는가?

            

        4.  삼전(三傳)의 상황을 보면

            결말을 알 수 있는 말전(末傳)은 장생지이고 힘이 강하다. 가을에 수(水)는 강하다는 뜻이다.

            또한 중전(中傳)은 초전(初傳)과 합하여 말전(末傳)을 도와주니 확실한 보장을 받고 있는 것이

            다.

 

         결과

             이 분이 방문했을 때는 대학원 시절이 었다.

             지금은 박사학위를 득하고 다시 외국에 나갈 준비를 하고 있단다.

             대단한 욕심을 가진 학구파다.

             어디까지가 끝인줄은 자신만이 아는 것이다.

                     아마 일취월장하여 그 이름 석자 세상에 크게 알릴 것이라 본다.

                

 

 

       ◈  참고  

                이 과는 이런 특성이 있어서 명예를 구하는 것에는 매우 좋으나 일반인은 반대로 매우 나쁘다.

             만약 언론계에 있는 사람은 말조심, 글조심을 하지 않으면 설화(舌禍)나 글로 인한 화를 당하

             게된다.

             또한 관청(官廳)을 상대로 하는 사업이나 신청 또는 일반적 업무는 퇴짜를 당하거나 허가나 인

             가 가 나오지 않아서 질질 끌 게 되며 결말이 나오지 않는다.

             관공직에 있는 사람은 위로부터 문책을 받는 상(象)이니 부디 경계해야 할 일이다.

 

             육임신과는 길 과 흉이 혼잡되어 있다. 사안에 따라서 그 판단을 달리해야 한다.

 

             가령 이과에서 가정을 판단한다면 부부는 서로 경계하거나 서로 다른 마음을 갖고 있어서 금슬

             이 나쁘며 심하면 소송관계가 발생할 수 있다고 보며

             문서로 인한 사건으로 고민하거나 흉한 소식을 접하게 되어 집안의 사정이 매우 나쁘게 된다.

             또한 이해관계가 엇갈린 금전이나 돈을 받아서는 큰 화를 초래하게 된다.

 

      

 

                                                  

                                     육임당    忠 巖                      음력 05. 9. 하순

 

 

 

 

 

 

                                  동양의 역학 신묘삼수를 모르는 자 와는 천기를 논하지 말라 하였다.

 

                                

 

     동양의 신묘삼수란  천기를 보는 데는 태을이요,  지리를 보는 데는 기문이요,  인사를 보는 데는 육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