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방
: 천택이<天澤履> <64卦
조견표 참조>
열마리
새가 함께 날았는데 명궁 예가 암놈 아홉 마리를 쏘아 맞히고
수놈만 홀로 남았는데 비록 놀라기는 했지만 위태하
지는
아니하더라
손방
: 태위택<兌爲澤>
말을
대열에서 풀고 철군해서 수고하고 피로한 것을 쉬게 하니
군사들이 기뻐하며 집에 들어가 아내를 보게 되리라.
진방
: 화택규<火澤規>
창고가
차서 노적을 많이 했는데 기장과 피를 심음이 마땅하고
해마다 늘어남만이 있더라.
간방
: 뇌택귀매<雷澤歸妹>
굳은
얼음에 황조는 항상 슬퍼하고 근심함은 흰 낟알은 보이지
않고 다만 명아주와 다북쑥만 보이고 자주 매에게 놀래
나
의
마음의 근심이 되더라.
감방
: 지택림<地澤臨>
약수
서쪽에 서왕모가 있어 나면서 늙는 것을 알지 못하고 하늘과
더불어 서로 보존하니가는 자는 위태하고 머물러 있으
면
좋아하고 기뻐하더라.
건방
: 산택손<山澤損>
길에
가시가 많아서 걸을 때 나의 발을 찌르니 여객에 불리하여
마음에 독이 되더라.
태방
: 수택절<水澤節>
바다는
물의 왕이되니 총명하고 성스러워 백군데 흐름이 덕으로
돌아와 반역함이 없어 항상 풍요하고 족하느니라.
곤방
: 풍택중부<風澤中浮>
새가
소리 지르며 우니 하늘에서 불이 장차 내려와 나의 집을
태우니 재앙이 비후에 미치더라
본괘의
변화 <자백수에 의한 변괘 變卦>
변괘란
가령 곤방의 풍택중부라고 한다면 <풍> ☴
<택>
☱
의 괘가 되는데 여기에서 6 백금의 6 爻가 동<動>하게
된다. 즉 동효가 되
는 것이다.
6 爻가 동<動>하게 되면 천괘중에서 사효<四爻>가
동하게 되는데 양에서 음으로 동하게 되니<풍> ☴ 괘에서
<천> ☰ 괘로
변화하게
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풍택중부괘는 천택이괘로 변하게 된다. <☰ ☱>
[
천택이<天澤履>
[열
마리의 새가 날았는데 명궁 예가 암놈 아홉을 쏘아 맞히고
수놈만 홀로 남았는데 비록 놀라기는 했으나 위태
하지는
않았다]
이것은
길괘에서 변하게 되었어도 여전히 길괘로 되는 것이다.
모든 괘가 6
爻가 동<動>의 작용을 받아서 변하여 변괘라고 하는
것을 이해 하여야
한다.
<<
다음은
팔문과 인화를 설명하기로 한다. 04.
07. 02
팔문<八門>의
구성 원리
팔문은
사람에게 일어나는 사건이나 사상의 좋고 나쁨을 말한다.
팔문의 상의<象意>는 기문둔갑 명리방의 기문둔갑
용어해
설에서
볼 수가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란다.
팔문의
영험은 제갈공명의 활용법에서 그 신묘력이 나타나 있다.
아래에서는 팔문의 구성원리를 설명한다.
시간을
이용한 기문국이기 때문에 시가팔문<時家八門>을
이용한다.
팔문의
포국 순서.
지반<地盤>이
포국되면 우선 시간이 속한 순중을 알아야 하는데 가령
기사시<己巳時>이면
갑자<甲子>旬에 속한다.
갑자는
육의<六義> 가 무<戊>이며 數로는 5<五>이다.
위
표에서 5
○ 에 표시가 되어있다.
이 곳을 부두<符頭>라고 한다. 이곳에서부터 순행으로
기사시<己巳時>까지
포국하면
아래의
표와 같다.
2
庚午시
|
7
丙寅시
|
9
戊辰시
|
1
己巳시
|
3
辛未시
|
5
○ 甲子시
|
6
乙丑시
|
8
丁卯시
|
4
壬申시
|
갑자시<甲子時>에서
기사시<己巳時>까지 순행하여보니 기사시<己巳時>의
현재 위치는 진방<震方>에 위치하여 있고 이는
갑자시<甲子時>가
기사시<己巳時>의 위치 만큼 이동을 하였다는 것을
말한다. 자연적으로 아래의 팔문의 정위치를 보면
각
방향<8 방)에 고정된 팔문의 위치가 정해저 있다. 이
정해진 팔문이 시간이 이동한 위치 만큼 따라서 이동을
하여야 한다
팔문의
정위도 <1>
변화된
팔문의 위치
시간의
이동만큼 시계의 방향이나 아니면 반대방향으로 이동을
하면 된다. 위의 경우는 갑자시<甲子時>가
반대 방향으로
이동을
하였기 때문에 모든 팔문이 반대 방향으로 이동을 하는
것이다. 이처럼 부두<符頭>가
이동한 위치 까지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칸수의 차이 만큼 이동을 하는 것이다. 이정도의 설명이면
쉽게 이해 하시리라 생각한다.
인화<人和>의
구성 원리
인화<人和>는
어느 방향으로 가면 사람들간에 서로 상생의 작용을 얻을
수 있는 가를 보는 것이다.
삼원
기문둔갑의 특징이라면 선천 팔괘의 적용과 인화의 부분이다.
인화는 전체적으로 미치는 효과가 적다고 하지만 실제로
임상에서
도로에서 큰 사고가 났을 때 생명을 건진 경우도 있을 정도이다.
기문둔갑에서 어느 부분도 사람의 일과 직접적으
로
관계가 있기 때문에 절대로 간과하거나 무시해서는 안되는
것임을 아시라.
인화의
조건은 당일의 자백수를 기본으로 한다. 가령 양둔 입하 하원
기축<己丑>일이라고 한다면 자백수는 2흑이 된다.
이
자백수<紫白數>는 절기론에서 참고 하면 된다. [ 일진
자백수<구궁>조견표 ]
자백수<紫白數>
2흑을 구궁중에서 중궁에 입궁시켜 순행한다. 아래의
표를 참고 하시라...
기사시<己巳時>.
시<時>의 자백수는 6 이다. 위 표에서
보면 시의 자백수 6 이 남쪽에 있다. 그러므로 남쪽 방향으로
가면
사람간의
협조력을 얻을 수가 있다는 것이다. 이 인화의 작용에서
시<時>의 자백수가 있는 곳이 길방으로 하지만 오<五>의
자백수의
경우 음둔과 양둔에 따라 적용하는 기준이 다르게 된다는
특징이 있다.
음둔의
경우에는 건궁<乾宮>의 자백수를 사용하고 양둔의
경우에는 손궁<巽宮>의 자백수를 사용함이 특징이다.
이처럼
가장 강력한 효능이 있다는 입향반 의 시간을 이용한 삼원기문둔갑의
예를 들어 보았다.
이해도가
난이한 면이 있지만 삼원기문둔갑의 특징은 사람의 운기를
좋게 만들어 주는 방위술의 천기법이다.
<< 다음에는
좌산반의 이용법을 설명할 예정이다. 04.
07. 18 忠巖
|